티스토리 뷰
**음, 맛있다.**
맛있는 , 아주 맛있는, 좋은 냄새가 나는, 군침이 돌게하는, 맛좋은.
신선하지 않은, 맛이 고약한, 맛이 끔찍한, 맛이 없는(unsavory), 싱거운, 맛이 없는(unpalatable).
맛을 표현하는 많은 단어 중 몇 가지입니다. 이 단어들은 냄새를 표현하기도 합니다. 여러분이 생각하듯이 맛과 냄새는 서로 연결 되어있습니다. 맛과 관계되는 감각은 미각(gustation) 이라 불립니다.
우리가 음식 맛을 느끼려면, 먼저 음식들이 물에 녹아야 합니다. 4가지 기본 맛은: 단맛, 짠맛, 신맛 그리고 쓴맛 입니다
다른 맛들은 이 네가지 기본 맛의 조합에서 나옵니다. 실제로 최근에 “감칠맛(Umami)” 이라 불리는 다섯 번째 맛이 발견 되었고, 이 감칠맛은 화학조미료 MSG와 같은 글루타민이 포함된 음식에서 맛 볼수 있습니다. 혀의 각 다른 부분은 각각의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교과서에서 볼 수 있는 단순한 “맛 지도(taste map)” 는 여러가지 이유로 비판을 받아 왔습니다 criticized for several reasons. 실질적으로 맛을 보는 기관은 “맛봉오리(taste bud).” 각 맛봉오리에는 (사람은 대략 10,000개 정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많은 (50-150사이) 수용체 세포(receptor cells)가 있습니다. 이 수용체 세포들은 1-2주 정도 밖에 생존하지 않으며 곧 새로운 세포로 교체 됩니다. 각각의 수용체는 기본 맛 중 하나의 맛에 가장 강하게 반응을 합니다. 물론 이것이 다른 맛에도 반응하지만, 특히 한 가지 맛에 가장 강하게 반응을 합니다. |
The Taste Bud![]() |
혀를 자극하고 맛을 보는데 사용되는 뇌신경(cranial nerves) cranial nerves 에는 두가지가 있습니다: 얼굴신경(facial nerve, cranial nerve VII)과 혀인두신경(the glossopharyngeal nerve, cranial nerve IX)입니다. 얼굴신경은 혀의 앞부분의 3분의 2를 자극하고 혀인두신경은 혀 뒤쪽의 3분의 1을 자극합니다. 또 다른 뇌신경인 미주신경(:the vagus nerve, X)은 입의 뒤쪽에서 맛에 대한 정보를 전달합니다. 신경세포들은 뇌에 들어온 맛 정보를 고립로의 핵(nucleus of the solitary tract) 이라 불리는 뇌줄기로 운반 합니다. 맛 정보는 고립로의 핵(nucleus of the solitary tract)으로 부터 시상(thalamus)으로 먼저 가고 그 후에 대뇌겉질(cerebral cortex)로 갑니다. 냄새를 위한 정보처럼 맛 정보도 역시 둘레계통[limbic system: 시상하부( hypothalamus) 와 편도(amygdala)]로 갑니다. 또 다른 뇌신경(삼차신경:the trigeminal nerve, V)도 혀를 자극하지만 맛을 느끼는데 사용되진 않습니다. 삼차 신경은 오히려 촉감, 압박, 온도, 고통 등의 자극과 관련된 정보를 전달합니다. | 맛에 사용되는 뇌신경 ![]() |
권인갑 번역. 배정옥 검토.
청소년을 위한 신경과학
Neuroscience for Kids의 자료를 이 사이트 운영자 Dr. Eric H. Chudler로부터 허가를 받아 번역 게재하고 있다. 이 사이트는 여러 나라의 언어로 번역되고 있다. 차례 신경과학의 세계 (tistory.com) 뇌 기초지
neurosci.tistory.com
반응형
'Neuroscience for Kids > Sensory syste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물의 놀라운 감각 (0) | 2022.12.02 |
---|---|
색이 맛에 영향을 주는가? (0) | 2022.12.02 |
코 - 냄새 맡아요 (0) | 2022.12.02 |
귀 - 들어 보세요 (0) | 2022.12.02 |
눈 보호 (0) | 2022.12.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