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놀라운 동물들의 감각 능력
.
많은 동물들은 주변 환경에 훌륭히 적응해 왔습니다. 다양한 종류의 에너지가 환경 속에서 존재하고 있으며, 이 중 몇 가지는 사람이 감지하지 못합니다. 이번 장에서는 동물들이 외부 세계를 감지하는 방식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해부학적 구조를 살펴보겠습니다. | ||||
개미 ![]() |
* 땅 5cm 위•아래의 작은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 편광(polarized light)을 볼 수 있다. |
박쥐![]() |
* 비엽(nose-leaf)을 사용하여 16cm 이내에 위치한 동물의 온기를 감지할 수 있다. * 박쥐는 18피트 이내에 있는 먹이(곤충)를 찾을 수 있고 반향 위치 측정 기관을 통해 곤충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주파수 영역 3,000~120,000Hz 사이의 소리를 들을 수 있다. |
|
벌![]() |
* 파장 영역 300 nm와 650 nm 사이의 빛을 볼 수 있다. * 주둥이, 앞 발, 더듬이에 화학수용기(미각기)를 가지고 있다. * 일벌의 눈은 각각 5,500개의 렌즈(낱눈, ommatidia)로 구성되어 있다. * 일벌은 배에 위치한 산화철(자철석) 고리를 통해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능력은 지구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비행 경로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 편광을 볼 수 있다. |
나비 ![]() |
* 다리에 화학수용기(미각기)가 있다. * 나비는 날개의 털을 사용해 공기 압력의 변화를 감지한다. * 노랑나비의 눈은 30 마이크론이나 작은 물체를 구분할 수 있다. (사람의 눈은 100마이크론 크기까지만 감지할 수 있다.) |
|
대머리수리 ![]() |
* 망막에는 평방 밀리미터 당 백 만개의 광수용기가 있다. * 15,000피트 상공에서 지상의 작은 설취류를 볼 수 있다. |
고양이 ![]() |
* 100에서 60,000 Hz에 달하는 청력을 보유하고 있다. * 14 평방 센티미터의 후각점막을 가지고 있다. 사람의 경우, 4 평방 센티미터의 후각점막을 가지고 있다. |
|
카멜레온![]() |
* 카멜레온의 눈은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서로 다른 방향을 동시에 볼 수 있다. | 바퀴벌레![]() |
* 수소 원자 직경보다 2000배 더 작은 크기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 |
게 ![]() |
* 집게발과 몸의 다른 부위에 난 털을 이용해 해류와 진동을 감지한다. * 많은 게들은 긴 자루(stalk) 끝에 눈이 달려 있다. |
가재![]() |
* 몸에 난 털을 이용해 0.1 마이크론(100 Hz) 크기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 |
귀뚜라미![]() |
* 다리를 이용해 소리를 듣는다; 소리의 진동이 귀뚜리미 앞 다리의 얇은 막을 진동시시킨다. | 개![]() |
* 최대 150 평방 센티미터의 후각점막을 가지고 있다. * 최대 40,000 Hz 까지의 소리를 들을 수 있다. |
|
돌고래![]() |
* 박쥐와 마찬가지로 사물의 움직임과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반향 위치 측정 기제를 사사용한다. * 최소 100,000 Hz 이상의 주파수대 소리를 들을 수 있다. |
잠자리![]() |
* 각 눈은 30,000개의 렌즈로 구성된다. |
.
.
.
.
임종우 번역. 배정옥 검토.
청소년을 위한 신경과학
Neuroscience for Kids의 자료를 이 사이트 운영자 Dr. Eric H. Chudler로부터 허가를 받아 번역 게재하고 있다. 이 사이트는 여러 나라의 언어로 번역되고 있다. 차례 신경과학의 세계 (tistory.com) 뇌 기초지
neurosci.tistory.com
반응형
'Neuroscience for Kids > Sensory syste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색이 맛에 영향을 주는가? (0) | 2022.12.02 |
---|---|
입 - 맛 좀 보자 (0) | 2022.12.02 |
코 - 냄새 맡아요 (0) | 2022.12.02 |
귀 - 들어 보세요 (0) | 2022.12.02 |
눈 보호 (0) | 2022.12.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