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바이러스와 루게릭 병의 연관 가능성.

생각은 할 수 있으나, 움직일 수 없다. 마음은 몸에 갇혀 있다. 이것이 근위축성측삭경화증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ALS)환자들이 그들에 대해 이야기 하는 것이다. 기억과 같은 사고능력은 있지만, 그들의 몸은 움직이라는 뇌의 명령에 따르지 않는다. ALS는 1941년에 이 병으로 세상을 떠난 유명한 야구선수의 이름을 따서 '루게릭병'이라고도 불린다. 미국에는 ALS환자가 2만명 정도 있고, 매년 5천명 정도 새로운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ALS는 운동피질이나 척수의 뉴런이 죽어서 발생하는 것이다. 이 뉴런들은 자발적인 운동에 관여하는 뉴런이다. 이 뉴런들이 죽기 때문에 ALS 환자들은 힘이 없고 움직일 수 없게 되는 것이다. ALS는 전염되지 않는다. 그러나 가족력이 있다.

ALS에 대한 치료약이 있긴 하지만, 이 병은 아직 완치할 수 없는 병이고 이 병의 원인 또한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2000년 1월 “신경학(Neurology)” 잡지에 실린 연구에서는 바이러스와 이 병의 연관성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 미국, 프랑스, 오스트리아의 과학자들은 ALS 로 죽은 환자들의 척수조직을 함께 연구하였다. 그들은 다른 병으로 죽은 환자들의 척수조직과 비교하면서, ALS 환자들의 척수조직이 enterovirus에 감염되어 있는가에 관심을 가졌다. 결과가 분석되었는데, 17명의 ALS환자들 중 15명의 척수에서 enterovirus가 발견되었고(88.3%), 다른병으로 죽은 환자들의 척수에서는 29명 중 1명의 것에서만 enterovirus가 발견되었다(3.4%).

이 결과는 enterovirus 와 ALS의 관계에 대해 말해준다. 그러나 아직 의문인 것은 어떻게 이 바이러스가 뉴런 속으로 들어갔느냐 하는 것이고, 또 이 바이러스감염이 ALS를 초래했는지 혹은 이 병의 결과로 바이러스 감염이 일어났는지 하는 것이다. 만약 연구가 더 진행되어 enterovirus가 이 병의 원인임이 밝혀진다면, 항바이러스제를 이 병을 치료하는 데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청소년을 위한 신경과학 (tistory.com)

 

청소년을 위한 신경과학

Neuroscience for Kids의 자료를 이 사이트 운영자 Dr. Eric H. Chudler로부터 허가를 받아 번역 게재하고 있다. 이 사이트는 여러 나라의 언어로 번역되고 있다. 차례 신경과학의 세계 (tistory.com) 뇌 기초지

neurosci.tistory.com

 

반응형

'Neuroscience for Kids > Disorde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균성 뇌수막염  (0) 2022.12.05
자폐증  (0) 2022.12.05
주의장애와 과행동장애질환  (0) 2022.12.05
아스퍼거증후군  (0) 2022.12.05
알츠하이머병  (0) 2022.12.05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