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Brain Abnormalities in Gulf War Veterans
걸프전 증후군의 세 가지 종류가 확인되었습니다 : | ||
증후군 1 (손상된 인지 기능) 증상: 우울증, 집중의 어려움 흔히 살충제가 들어있는 벼룩 퇴치용 목걸이를 착용했던 군인들에게서 발견됩니다. |
증후군2[혼돈-조화운동불능(Confusion-Ataxia)] 증상: 사고 및 추론의 어려움, 어지럼증, 평형 및 협동 문제 흔히 신경인자(혹은 신경가스, 신경계에 작용하는 군용 물질)에 노출되었다고 말하는 군인들에게서 발견됩니다. |
증후군3[중추통(Central Pain)] 증상: 관절 및 근육의 통증, 피로, 팔과 다리의 무감각 및 저림 흔히 화학물질 DEET를 포함한 해충약에 노출된 군인들에게서 발견됩니다. |
걸프전 증후군의 원인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몇몇 연구자들은 이 증상들을 보이는 군인들이 화학적 신경 인자, 살충제 또는 해충제에 노출되었을 것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걸프전 증후군의 당연하게 여겨지는 이런 원인들에 상관없이, 뇌스캔을 이용한 새로운 연구는 걸프전 증후군을 앓는 군인들이 뇌의 몇몇 영역에서 신경세포 손상이 일어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 ![]() |
Into the Scanner
핵자기 공명 분광법(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MRS)라 불리는 뇌 스캐닝 기술을 이용해서, 달라스에 있는 텍사스 사우스웨스턴 대학 의료 센터(University of Texas Southwestern Medical Center)의 연구원들은 걸프전 참전군인들 중 걸프전 증후군의 증상을 보이는 군인들과 보이지 않는 군인들의 뇌를 검사하고 비교하였습니다. 걸프전 증후군을 가진 22명의 뇌와 18명의 건강한 군인들의 뇌를 비교하였습니다. 이 군인들은 모두 같은 부대에서 근무하였습니다. 뇌의 이미지를 검사한 연구원들은 그 이미지가 건강한 사람의 뇌인지 아픈 사람의 뇌인지 알지 못했습니다.
일반적인 자기 공명 화상법(magnetic resonance imaging method, MRI방법)이 해부학적인 뇌의 사진을 제공하는 반면, 이와 대조적으로 핵자기 공명 분광법(MRS)은 연구원들에게 뇌의 기능상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핵자기 공명 분광법(MRS)은 뉴런 안에서만 발견되는 엔-아세티라스파르타테(N-acetylaspartate, NAA)라 불리는 화학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작동합니다. 특정 뇌에서 엔-아세티라스파르타테(NAA)의 양이 감소되었다는 것은 뉴런의 기능이 손상되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이 뉴런 기능 손상은 뉴런 손상과 손실에서 왔을수 있습니다.
박혜정 번역. 배정옥 검토.
청소년을 위한 신경과학
Neuroscience for Kids의 자료를 이 사이트 운영자 Dr. Eric H. Chudler로부터 허가를 받아 번역 게재하고 있다. 이 사이트는 여러 나라의 언어로 번역되고 있다. 차례 신경과학의 세계 (tistory.com) 뇌 기초지
neurosci.tistory.com
'Neuroscience for Kids > Disorde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납과 신경계 (0) | 2022.12.05 |
---|---|
헌팅턴병 (0) | 2022.12.05 |
태아 알콜 증후군 (0) | 2022.12.05 |
뇌전증 (0) | 2022.12.05 |
읽기 장애 2 - 실독증 (0) | 2022.12.05 |